구글에 검색 최적화 seo 글쓰기 방법으로 디스크립션 (description)을 잘 활용하면 좋다. 디스크립션이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 그리고 티스토리에 디스크립션은 어디에 위치하며 어떻게 작성해야 좋은지 적어본다.
디스크립션 (description) 이란?
디스크립션이란 검색 엔진에서 글을 검색했을 때 제목과 함께 보이는 글의 내용을 소개하는 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검색 엔진에 alt 태그에 대해 검색했을 때 제목과 함께 제목 아래의 글 내용이 보이는 빨간색 박스에 보이는 글이 디스크립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구글 최적화 seo에 디스크립션이 중요한 이유
구글에서 검색을 했을 때 제목과 디스크립션의 내용이 일치하면 이 글은 제목과 연관성이 있는 글로 인식하고 검색 노출도가 증가하게 된다. 디스크립션 부분이 제목과 다른 내용이 들어가면 로봇이 이 글을 평가할 때 어떤 내용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인식할 수 있다. 디스크립션 부분에 제목 내용이 들어가지 않더라도 구글에서 내용이 있는 부분을 잘 잡아가기도 하지만 내용과 디스크립션 부분은 일치시켜준다면 정확도 면에서 노출에 더 유리한 조건을 가지게 된다.
( ※ 주의 상위 노출에 유리한 것이지 상위 노출이 된다는 것은 아님. 상위 노출은 글을 정말 잘 써야 한다.)
티스토리 디스크립션은 어디에?
구글의 블로그 같은 경우는 디스크립션이 적는 곳이 따로 있다. 하지만 티스토리는 디스크립션이라고 별도로 되어 있는 공간이 없다. 티스토리도 디스크립션이 있는데 글을 쓸 때 제일 처음 적는 문단이 자동으로 디스크립션으로 잡힌다.
디스크립션이 잡혀 있는지 있다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발행한 글의 소스 코드를 열어 디스크립션의 위치를 찾아서 확인할 수 있다.
발행한 글은 우클릭해서 "페이지 원본보기"를 들어간다.
ctrl+f 를 눌러서 검색 창을 열고 "description"을 입력하고 검색을 하면 된다.
샘플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발생한 글의 첫 문장에 "얼마 전 티스토리......"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description에 잡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디스토리 디스크립션 작성방법
1. 티스토리는 첫 문단이 자동으로 디스크립션으로 잡힌다.
첫 문단의 내용은 제목에 들어간 키워드를 사용하여 블로그 전체 내용을 요약하여 적어 주는 것이 좋다. 동일한 문구를 사용하지 못하면 최대한 키워드를 다 적어 주는 것이 좋다. 구글 최적화 seo 로직에서 제목과 내용의 키워드가 일치하게 되므로 관련된 내용으로 인식하게 된다.
2. 디스크립선 글자 수
최소 25자 이상, 공백 포함 150~ 160자 이하로 작성하면 가장 좋다.
일반적으로 글을 작성할 때 2줄 정도 적어 주는 분량이 된다.
처음에는 네이버 글자 수 세기 등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분량인지 확인해 보는 것도 좋다.
첫 문단의 경우는 내용보다는 일반적인 이야기를 적는 경우가 많다. 사소한 부분이지만 검색 최적화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글을 쓰는 경우가 많다. 구글 검색 노출에 관심이 있다면 디스크립션을 생각해 첫 문단 글을 키워드와 내용의 요약을 작성하는 습관을 들이면 어렵지 않게 구글 검색 노출에 조금 더 유리하게 다가설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구글 최적화 SEO 글쓰기 - 티스토리 alt 태그 입력 방법
'티스토리로 부업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H태그 본문 CSS 글자 크기 변경 방법 (0) | 2021.11.19 |
---|---|
구글 최적화 seo 글쓰기 - H태그 (1) | 2021.11.18 |
구글 최적화 SEO 글쓰기 - 티스토리 alt 태그 입력 방법 (0) | 2021.11.16 |
작성한 블로그 글자수 확인 방법 - 네이버 글자수세기 (0) | 2021.11.09 |
구글 애드센스 신청 방법 (0) | 2021.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