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드센스에 수동으로 광고를 넣기 위해서는 광고 단위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구글 애드센스 광고 종류를 알아보고 디스플레이 광고와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 단위를 만드는 방법과 팁을 적어 보았다.
구글 애드센스 광고 종류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로 들어와서 광고 > 개요 > 광고 단위 기준으로 들어온다
처음 가입하면 "일치하는 콘텐츠 항목"이 없고 이렇게 4가지 광고 형태가 있다.
디스플레이 광고
사진을 위주로 보이는 일반적인 배너 형식 광고이다. 광고 종류가 다양하다.
광고에 있는 번개 모양의 아이콘은 모바일에 훨씬 빨리 광고가 뜨는 AMP 호환 마크이다. 워드프로세서 사용자들에게 적용되고 있고 티스토리에서는 지원을 하고 있지 않다고 한다.
인피드 광고
인피드 광고는 게시물의 목록에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리스트 형태에 광고이다.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
사진과 글이 함께 들어가는 광고로 본문 네에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광고이다. 디스플레이 광고보다 광고의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지만 광고 클릭 확률이 조금 더 높은 편이라고 한다.
검색엔진
검색엔진을 생성하고 검색 결과에 광고가 나오게 하는 광고 방식이다.
광고 단위 만들 때 알아 두면 좋은 점은 팁
1. 한번 만든 광고 단위는 삭제할 수 없다.
처음에 잘 못 만들 것 같아서 삭제를 하려고 찾아봤지만 삭제 버튼이 없어서 여러 군데 알아 보았지만 삭제가 불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수정과 보관을 가능하다. 잘 못 생성된 광고는 다음에 필요할 때 수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2. 콘텐츠네 위치에 따라 광고 단위를 만들어 주면 좋다.
구글 애드센스는 광고 단위에 따라 통계를 보여준다. 본인이 글을 쓰는 스타일에 따라 어떤 위치의 광고가 클릭률이 좋은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본문-상단광고" 이런 식으로 구체적인 위치를 넣어 광고 단위 이름을 만들어 주면 좋다.
3. 주제별로 광고 단위를 만들어 주면 좋다.
특정 주제에 대해서 블로그 글을 나누어서 작성하는 경우 어떤 주제가 더 광고 클릭률이 좋은지 확인하기 쉽다.
처음 글을 작성하고 클릭 율이 낮은 경우는 광고 단위를 나누는 게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본인만의 글을 작성하는 스타일이 생기고 주제가 다양해지면 그때 특정 위치의 광고와 어떤 주제의 글에서 광고 클릭이 많이 일어나는지 알수있게 된다.
그래서 처음부터 광고 게재 위치에 따라 광고 단위를 만들어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디스플레이 광고 단위 만들기
디스 플레이 광고를 눌러서 들어온다.
왼쪽 상단에 광고 단위 이름을 적는 곳이 있다. 어떤 곳에 광고가 들어갈 것인지 활용해서 이름을 지어 주면 좋다.
디스 플레이 광고 미리보기는 사각형, 수평형, 수직형 형태가 있다는 것이지 선택할 수 없다. 반응형 광고이기 때문에 적절한 형태로 광고가 뜬다는 샘플로 생각하면 된다.
경험상 사각형을 모바일, 수평형은 테스트 탑, 수직형은 데스크톱 사이드바 쪽에 주로 사용된다.
이름을 작성하고 만들기를 눌러준다.
코드가 생성되었다는 표시가 뜬다. 코드를 복사해 두어도 되고 광고 단위 리스트에서 코드르 복사해도 된다.
완료를 누르면 디스플레이 광고 단위가 생성된다.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 단위 만들기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를 눌러 준다.
오른쪽 상단에 광고 단위 이름을 작성하는 곳에 이름을 작성해준다. 본문에 들어가는 위치나 주제를 넣어서 작성해주면 좋다. 스타일에서 폰트나 제목, 내용, 배경의 색상을 설정하여 줄 수 있다.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는 글자만 나오는 경우도 있어 눈에 띄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 경우 광고 글씨나 배경 색상을 변경하는 것도 방법인 수 있다.
설정을 했다면 저장 및 코드 생성을 눌러 준다.
광고 단위가 만들어지고 코드가 만들어진 페이지가 뜬다. 코드 복사를 해도 되고 안 해도 된다.
광고 단위 목록에서도 코드 복사를 할 수 있다. 완료를 누른다.
이렇게 광고 단위가 만들어지면 광고 단위 목록이 생성된다
광고 단위 이름에서 광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로 만들어 주었다.
광고 이름 광고 형태와 광고 만든 혹은 최종 수정일이 나타나고 그다음에는 아이콘들이 나타나 있다.
그래프 모양을 해당 광고의 광고수익 보고서로 이동하면 통계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 화살 표 모양은 광고 코드를 볼 수 있다
연필 모양은 광고 단위를 수정할 수 있다.
마지막 점 3개는 보관을 할 수 있고 숨기기 기능과 비슷하다.
광고 코드는 광고를 지재 할 때마다 매번 와서 복사 해 가기 너무 번거 돕기 때문에 메모장, 에버노트 등 주로 사용하고 쉽게 열러 확인할 수 있는 곳에 따로 저장해서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이상으로 구글 애드센스 광고 단위 만들기를 작성해 보았다.
만들어진 광고단위를 수동으로 넣는 방법이 궁금하면 아래의 링크를 눌러 주세요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수동 광고 넣기
구글 애드센스 광고는 수동으로 넣어 줄 수 있었다. 본문 내에 상단과 하단에 디스플레이 광고를 넣는 방법과 본문 글 중간에 콘텐츠네 자동 삽입 광고를 넣는 방법을 적어 본다. 티스토리 블로
simpliy.tistory.com
'티스토리로 부업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PIN 핀번호 (0) | 2021.12.15 |
---|---|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수동 광고 넣기 (0) | 2021.12.14 |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애드센스 연동 자동 광고 넣기 (0) | 2021.12.10 |
구글 애드센스 자동 광고 설정 (0) | 2021.12.09 |
서식 - 빠른 글 작성을 위한 티스토리 블로그의 편리한 기능 (0) | 2021.12.01 |
댓글